· 통일교 성지 완성 위해 신도들에게 가정당 100만 원 이상 헌금 요구 · 헌금 완납 못할 경우 지로용지 보내 분할 납부 요청하며 신도 압박 · 통일교 2세들 과도한 헌금 문제에 대해 분노 품고 있어 아베 전 총리 사건 재발 우려 통일교 헌금 문제로 뜨거운 일본
통일교의 무리한 헌금 요구로 한 가정이 파탄 났고, 그것에 앙심을 품은 신도의 자녀 A씨가 보복으로 아베 총리를 살해했다. 통일교를 지원해온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A씨의 살해 동기가 알려지며, 일본 국민들은 통일교를 향한 거센 비난을 쏟아냈다. 일본 언론 역시 통일교와 일본 정치인들의 밀착 관계를 낱낱이 파헤쳤고, 일본 국민들의 공분은 거세져 갔다. 국민적 분노를 걷잡을 수 없다고 판단한 일본 정부는, 9월 5일부터 통일교에 의한 금전 문제 등의 피해 상담을 하는 합동 전화 상담창구를 열었다. 상담 건수의 추이 등을 감안해 10월 이후 지속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일본의 통신사 「지지통신」에 따르면, 한 달이 채 되지 않은 9월 28일까지 이루어진 상담이 2251건 이었고, 22일까지 접수된 피해 상담 1317건 가운데 70%가 금전 문제였다. 끊어지지 않는 상담으로 인해 당분간 연장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또다시 헌금 걷는 통일교
들끓는 일본 시민들의 마음에 기름을 부은 것은 통일교의 꼬리자르기식 대처였다. 통일교 측은 가해자와 그 가족들과 일절 관계없다며 선을 그었다. 도리어 아베 전 총리의 서거 원인이 통일교 때문이라는 프레임이 씌워져 마녀사냥을 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통일교의 무책임한 대응에 일본 국민들은 유착관계가 있던 일본 집권 자민당에 대해 지지를 철회하고 있다. 아베 전 총리 국장 이후 실시된 「아사히신문」과 「요미우리신문」 등의 여론조사 결과 모두 기시다 내각 지지율이 지난해 10월 출범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통일교와의 관계를 정리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지만, 민심을 되돌리기엔 역부족이다.
그러나 통일교 측은 일본 정세에 아랑곳하지 않고 오매불망 성지 완성에만 급급하다. 통일교는 10월 1일 작성한 공문을 통해, 2023년 5월 5일 통일교 교리 완성을 위해 성지가 완성되어야만 한다고 신도들을 부추겼다. 그러면서 2022년 10월 7일을 시작으로 2023년 5월 4일 약 210일간 특별 헌금을 받는다고 공지했다. 이뿐만 아니라 “가정당 1백만 원 1구좌 이상”이라는 구체적인 금액을 알리며, 해외에 있는 모든 신도들의 참여를 독려했다.
반성 없는 통일교 제2의 아베 사건 생길까 우려
많은 이단 전문가들은 아베 전 총리 사망과 유사한 사건이 일어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지난 30년 동안 일본 통일교 피해사례를 조사해 온 일본의 전국영감상법대책변호사연락회에 따르면, 1987년부터 2021년까지 집계된 통일교 피해 사례는 3만 4537건, 피해액만 1237억 엔(한화 약 1조 원)으로 알려졌다.
여전히 돈이 필요한 통일교! 아베 피격살해 사건은 벌써 잊어버린 것 같은 행보를 보이고 있다. 과연 누구를 위한 건축인가. 과도한 헌금으로 신도는 삶의 균형을 잡지 못하고, 교주는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하고 있다.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라는 슬로건 아래 모였지만, 몰상식한 교리로 인해 교주와 신도들의 가정은 연합하지 못하고 있다. 평화도 통일도 없었다. 아베 전 총리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이단 문제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반면 통일교 측은 아베 전 총리 사건에 대해 책임감을 느끼고 마땅한 사고 예방 대응책을 내놓아야 한다. 마녀사냥과 편향 왜곡 보도를 운운할수록 사회로부터 배척과 고립된다는 것을 직시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