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다락방을 떠난 분들에 관한 상담이 몇 차례 있었다. 내용은 다락방을 떠난 분들이 우리 교회를 찾아왔는데 어떻게 하면 좋겠냐는 질문이 대부분이다. 다락방을 떠나 교회로 온 것은 감사한 일이지만, 기존 교회 성도들을 생각하면 혹시라도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지는 않을지에 대한 염려 때문인 것 같다.
물론 교회의 입장도 충분히 이해가 된다. 이단을 떠나 올바른 신앙의 길로 돌아온 이들을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이견은 없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 성도들과의 관계에 문제는 없을지 그리고 교회의 방침을 잘 존중할지 걱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락방 탈퇴를 선언한 목회자, 선교사 등의 명단 |
다락방을 탈퇴한 목회자들의 상황은 더욱 복잡한 것 같다. 오랜 기간 목회자로 몸담았던 다락방을 떠난 것도 힘든 결정이었지만, 앞으로의 일이 더 걱정이다. 목회를 그만두거나 독립교회로 남아있지 않는 한 새로운 소속 교단이 필요한데, 기존 교단의 가입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다행히 한두 교단이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바라기는 다락방 탈퇴자의 가입이 이벤트성 퍼포먼스가 아니라, 필요한 교육과정과 공적 절차를 통해 온전한 가입이 이루어지는 실효성 있는 결과가 나오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다락방을 떠난 평신도들에 대해서는 각 교회가 문턱을 낮추고 전심으로 받아들이기를 소망한다. 혹시라도 다락방에서 왔다는 상처가 덧나지 않도록 세심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비록 잘 정착할지 혹은 목회 방침을 잘 수용할지 걱정도 되겠지만, 새 신자 교육을 강화하거나 교회 봉사와 직분을 서서히 맡기는 등의 안전장치를 통해 ‘천천히 하지만 확실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다락방을 떠난 분들이 교회로 온다면, ‘받을까 말까’가 아니라 ‘받아들이되 어떻게 받을지’를 고민해야 한다. 한 마리의 잃어버린 양을 찾는 목자의 마음으로, 집을 떠났다 돌아온 아들을 품는 아버지의 마음으로, 다락방을 떠나 교회로 오는 분들을 따뜻하게 품고 받아들여야 한다.
한편 다락방이 속했던 개혁 교단이 최근 분열되는 양상이다. 개혁 교단에 속해있는 다락방전도협회와의 갈등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사실 그동안 개혁 교단에 속해있으면서도, 다락방은 독자적인 조직을 유지하고 다락방식 훈련도 계속해 왔던 사실을 모두 알고 있다. 그렇기에 다락방이 신분 세탁을 위해 개혁 교단을 이용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다락방 문제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앞으로 상황이 어떻게 변하든지 간에 다락방을 떠났거나 떠날 분들을 받아들일 준비를 우리 교회가 선제적으로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락방 탈퇴자가 또 다른 이단에 미혹되지 않도록, 그리고 다락방에 있을 때의 ‘열심’이 교회와 주님을 위한 ‘헌신’으로 변화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 교회의 본질은, ‘이단 정죄’를 넘어 ‘피해의 치유와 회복’에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 Copyrights ⓒ 월간 「현대종교」 허락없이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 -
▲탁지일 교수 본지 이사장 겸 편집장 부산장신대학교 교회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