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보기 작게보기
페이스북
일본의 스가 내각과 종교 사정
현대종교 | 탁지웅 신부 sonar530@hanmail.net
2021년 01월 15일 08시 48분 입력

2020년 9월 16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씨가 일본의 제99대 총리로 임명되어 자유민주당과 공명당의 연립 내각이 발족하였다. 발족 당시에는 74%라는 높은 내각 지지율을 자랑하였지만 교도 통신이 12월 5, 6 양일에 실시한 전국 전화 여론 조사에 따르면 내각의 지지율은 50.3%로 급락했다. 일본 정부의 코로나19 대책은 ‘평가하지 않는다’가 55.5%였고 감염 방지와 경제 활동 가운데 어느 쪽을 우선해야 하는지 물었더니 76.2%가 ‘감염 방지’를 꼽았다.

일본의 언론은 스가 내각의 지지율이 몰락한 이유로 ①코로나19에 대한 미흡한 대응 ②다른 정책 과제에 대한 미흡한 대응 ③아베 정권의 금전 스캔들 문제 미해결 ④언론과 국민에 대한 자세 등을 꼽고 있다. 그런데 겉으로는 드러나지 않지만, 주의해야 할 것은 스가 내각은 아베내각과 마찬가지로 문제성 있는 종교단체와 밀월 관계에 있다는 사실이다.

2020년 11월 9일 발행한 「HARBOR BUSINESS Online」에서 후지쿠라 요시로우(藤倉善郎)씨는 “스가 내각의 통일교 계열 장관 9명. ‘신종교, 스피릿츄얼, 가짜과학”의 관계라는 기사를 통해 스가 내각의 숨겨진 모습을 파헤치고 있다.

 

▲스가(菅) 내각 시사통신

  

후지쿠라씨는 제4차 아베 내각이 컬트 집단이나 사회적으로 문제시되는 종교단체와 어느 정도 관계를 맺고 있는지 조사하였는데, 올해 9월에 탄생한 스가내각의 면면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인 경향은 아베 내각과 거의 다르지 않는 ‘컬트 내각’이라고 단정하였다.스가 내각의 각료들이 문제성 종교단체와 어느 정도 관계를 맺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아베 총리가 사임할 당시 아베 정권의 각료들의 수치와 비교한 것이다.
  

  

위 단체별 인원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약간의 증감은 있지만 대체로 아베 내각과 비슷한 경향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단체 가운데 후지아소야먀신궁(不二阿祖山太神宮)은 세계의 종교가 자기들의 단체에서 시작되었고 예수도 이곳에서 수행을 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레유우카이(霊友会)는 법화경을 중시하는 새로운 불교단체이다.

또한 ‘신도정치연맹(神道政治連盟)’이란 일본의 보수주의, 국가주의를 표방하는 국민운동단체 신사본청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일본회의(日本会議)’란 일본의 보수주의, 국가주의를 표방하는 우파의 종교단체와 정치단체의 모임인데 이 단체에 대해서는 현대종교 2017년 12월호를 통해서 이미 소개한 바와 같이 일본의 보수 정권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헌법 개정을 호소하고 있다.

 

▲스자 총리를 모함한 각 각료들이 문제성 있는 종교적 단체와 컬트 단체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졌는지 분석한 후지쿠라씨의 자료(출처: https://hbol.jp/231818?cx_clicks_art_mdl=5_title)

  

‘일본회의’의 6대 슬로건은 ‘헌법 개정’, ‘교육기본법 개정’, ‘야스쿠니 공식 참배의 정착’, ‘부부 별성 법안 반대’, ‘더 나은 교과서를 아이들에게’, ‘일본회의의 주장의 발신’이다. 현재 회원은 약 4만 명이고 일본회의에 호응하는 일본회의 국회의원 간담회에 참석하는 국회의원도 약 280명이나 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지」는 일본회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그 이름도 특별할 것이 없는 일본회의는 일본의 가장 강력한 로비단체의 하나로, 국수주의적이고 역사수정주의적인 목표를 내세운다. 서양 식민주의로부터 동아시아를 해방시킨 일본을 찬양하며, 재군비를 통해 좌익교사에게 세뇌당한 학생들에게 애국심을 불어넣고, 전쟁 전의 좋았던 옛 시대처럼 천황을 숭배한다.

일본회의 지지자들은 전쟁 후 미국 점령이 민주주의를 가져왔다고 인정하지 않으며, 점령과 그 시기에 태어난 자유로운 헌법이 일본을 약화시켰다고 주장한다. 이 단체는 정권의 핵심에서 영향력을 더욱 키워가는 중이지만, 기묘하게도 일본 언론의 주목을 거의 받지 않는다.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종교단체에 대한 비판 활동을 하는 모임에서는 일본회의나 신도정치연맹이 비난의 대상에 오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왜냐하면 ‘반 컬트운동’이 정치적으로 중립을 표방하고 사상을 문제시하는 것이 아니며 반사회적이고 반인권적인 단체를 컬트라고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상이 보수적이고 국수적이라고 해서 반드시 구체적인 인권 침해에 직결된다고는 단언할 수 없다.


또한 일본회의와 신도정치연맹으로부터 금전적인 피해를 당하고 노동력 착취나 인권 침해를 당하였다는 사례는 없다고 후지쿠라씨는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는 가운데 ‘교육기본법 개정’, ‘야스쿠니 공식 참배의 정착’, ‘부부 별성 법안 반대’ 등을 통하여 일본의 침략전쟁으로 인해 상처를 받은 근린 아시아의 국민에 대한 멸시와 차별, 젠더 문제에 대한 경시로 인해 그들의 주장은 ‘인권’과 관련된 심각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일본회의 홈페이지(출처: http://www.nipponkaigi.org/)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고 나라를 사랑하는 새로운 국민운동 네트워크’를 표방하고 있다. 또한 9명의 통일교 계열 각료가 존재한다는 것에 대해 경종을 울리고 있다. 후지쿠라씨는 일본에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통일교의 역사와 현황을 설명하면서 통일교와 교제가 있는 각료에 대해서 구체적인 정황을 설명한다.

스가 요시히데 총리는 2013년 7월 키타무라라는 국회의원 후보를 통일교 후쿠오카교회 등 두 교회에 강연하도록 알선하였고 2017년 5월 당시 김기훈 가정연합 미국 총회장이 이끄는 「워싱턴 타임스」 일행을 총리 관저로 초대하였다고 전한다.

또한 아소 타로우 부총리는 2011년 통일교 계열의 「워싱턴타임스」에 게재된 전면 의견 광고에 찬동자로서 성명 기재하였고, 총무성 대신의 타케다 료타씨는 2017년 2월 한국에서 열린 통일교의 세계평화국회의원연합총회에서 한학자 총재로부터 통일교를 국가 종교로 하라는 ‘국가복귀’ 지령을 수임하였을 뿐만 아니라 2017년 7월 통일교의 권유로 미국에 가서 워싱턴 DC의 미국의 하원의원 회관에서 ‘한미일 국회의원 컨퍼런스’와 뉴욕의 유엔 본부에서 ‘한미일 지식인 간담회’에 참석하였고 한학자 총재가 주관하는 초종교축제 ‘참부모님 매디슨 스퀘어 가든 대회’에 참석하였다고 한다.

그밖에 문부과학대신, 방위대신, 내각 관방장관, 부흥대신, 국회공안위원장, 디지털개혁담당대신, 내각부 부대신, 경제산업차관, 국방차관, 총무대신정무관, 자민당 정조회장 등이 통일교 관련 단체의 행사나 강연에 참석하거나 관련 단체에 회비를 납부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정치인은 신앙에 관계없이 종교 단체 등의 모임에 얼굴을 드러낼 수도 있지만, 그 단체에 대한 신앙이 있는지 없는지는 개인에 관한 문제이며 그것을 비난할 의도는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국회의원 등의 신분으로 종교단체의 이벤트에 참석하거나 축전이나 화환을 보내게 되면 종교단체의 권위와 공신력을 심어주게 될 것이고 그것은 개인의 신앙 영역을 넘어서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반사회적이고 반인권적인 활동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고 그로 인해 비판을 받는 종교단체와의 관계라면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정치 활동이란 시민의 세금으로 이루어진 예산에 의해 움직이게 되고 예산이란 정책을 포함하여 시민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 때문에 정치인과 종교단체와의 관계는 개인의 프라이버시라고 쉽게 단정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 하나님과 시민으로부터 부여받은 권력은 부패한 정치단체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는 종교단체를 위해서 쓰이는 것이 아니다. 일본 내각의 권력 구조와 현재 상황을 통해 바람직한 정치와 종교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저작권자 (C) 월간 현대종교(hdjongkyo.co.kr), 영리 목적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